Description
About me
1977. 03.26
T: 010-3283-3232
e-mail : ubin0416@naver.com
전시경력-
2018년 gallery cafe 공간의 의미전
2018년 문화공간 온 신진작가전
2018년 경민현대미술관 50만원전
2018년 경민현대미술관 봄향기전
2017년 홍콩한국미술전
2017년 현대조형미술대전
2015,16,18년 구상전
2016,17년 서울국제일러스트레이션대전
2016,17년 서울미술대상전
2017년 인천미술대전 외 단체전 다수
서양화와 일러스트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수상경력-
2017년 서울미술대상전 특별상
2017년 인천미술대전 특선
2017년 세계미술교류대전 동상
2017년 16년 18년 한국미술국제공모대전 특선
2017년 16년 국제일러스트대전 특선
2016년 타마라렘비카 일러스트전 우수상 등
A Study on the Meaning of Gallery Cafe Space in 2018.
"New Writer's Exhibition" in Culture Space in 2018.
500 thousand won worth of Gyeongmin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2018
The Spring Direction Exhibition of the Gyeongmin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2018
2017 Hong Kong Korean Art Exhibition
2017 Modern Art Exhibition
2015/16/18 Proposition
Seoul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Seoul Art Awards 2016 and 17
A number of group exhibitions other than the 2017 Incheon Art Exhibition
I work on Western painting and illustration.
Award experience
2017 Seoul Arts Awards
2017 Incheon Art Exhibition
2017 World Art Exchange Competition
Special Offers on the 16th 18th Korean Art Exhibition in 2017
Special selection for the 16th International Rooster Competition in 2017
Excellent prize at the 2016 Tamaraembeka Ilust, etc.
Work / Education
작가노트 – 한정된 공간에서 바라보는 도시들은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원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만족스로운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끼면서도 뒤에서는 이유없는 뒷담화를 하는 내가 있는 바로 이곳이다. 곧 편안하다고 돌아 올 것이면서도 장황하고 그럴싸한 이유를 들며 푸르름이 있는 곳을 찬양하는 아이러니한 모습을 늘 간직하고 있다. 내 작업은 이러한 스스로의 아이러니를 표현한다. 이런 작업으로 인해 단순히 이런 모순적인 내적 갈등을 힐난하기보다 그 안에서 융화된 중도의 과정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유토피아를 찾아가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으로 보이지 않는 공간의 통로를 만들어 때로는 은신처가 되기도 하고, 사색의 공간이 되기도 하며, 휴식처가 되기도 하는 내면의 여러 공간을 만들어 내고 있다. 여러 공간을 표현하며 그것이 단순히 공간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희망이라는 통로로 연결되어지는 여러 과정을 표현에 내려고 한다.
Cities that look in limited spaces are both envied and hated. This is where I am, who feels contented and comfortable but has no reason to talk behind my back. While he will soon return to his comfort zone, he always retains the irony of praising a green spot for a lengthy and plausible reason. My work expresses this self-serving irony. This is not simply to blame this contradictory internal conflict, but rather to find Utopia, which can be represented by a converged, middle-of-the-road process. It creates an inner space that sometimes becomes a shelter, a contemplative place, and a resting place. Expressing various spaces, it tries to present a number of processes that are not simply confined to space, but connected to the passage of hope